본문 바로가기
  • 휴식같은 여행으로의 초대 ♪♩♬~
반응형

전라도 여행136

고창 맛집, 집밥같은 고창 모양성순두부 고창 맛집, 집밥같은 고창 모양성순두부 모처럼 고향에 일이 있어서 고창에 방문했는데요. 고창읍성에서 형제들이 만나 철쭉꽃으로 둘러싸인 고창읍성을 성곽 아랫길로 한 바퀴 돌고 나왔습니다. 철쭉으로 꽃대궐이 된 예쁜 고창읍성(모양성) 고창읍성을 돌고 나오니 해도 져가고 저녁식사를 하기 위해 식당을 찾았는데요. 마침 고창읍성 앞에 모양성순두부라는 식당이 있더군요. 전에 친구를 만나 청국장을 맛있게 먹었던 식당이기도 합니다. 집밥같은 메뉴와 분위기라 11명 대식구를 데리고 모양성 순두부에서 식사한 후기입니다. 고창읍성 주차장 옆에 있는 모양성순두부입니다. 옆에는 5월의 정원이라는 카페가 있습니다. 고창읍성이 현재 정식명칭이지만 백제시대 이 지역의 이름이 모양부리라는 데에서 고창읍성을 전에는 모양성이라고 불러 식.. 2022. 5. 7.
철쭉으로 꽃대궐이 된 예쁜 고창읍성(모양성) 철쭉으로 꽃대궐이 된 예쁜 고창읍성(모양성) 지난 주말엔 시골제 묘제가 있어서 고향인 고창에 다녀왔습니다. 시골집은 당연히 계셔야 할 부모님이 안계시니 갈 때마다 아쉬움 가득 묻어 나오는 추억과 아픔의 공간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도 한두 번은 일이 있어서 고향 집에 방문하곤 하는데 오랜 기간 동안 비어 있다 보니 식사 준비는커녕 청소하기가 바쁩니다. 고향 집으로 가기 전에 식사하고 들어갈 겸 고창읍성 한 바퀴 돌고 저녁식사하고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4월의 고창읍성은 벚꽃은 졌지만, 고창읍성 주위로 만개한 영산홍 꽃이 꽃대궐을 이룬 모습이었습니다. 성곽길 따라 걸어가면서 철쭉꽃인 영산홍을 바라보는 그 풍경이 너무 매력적인 고창읍성(모양성) 철쭉꽃 풍경을 담았습니다. 고창 모양성 사적 145호로 지정된 고.. 2022. 4. 21.
정읍 쌍화차거리, 40년 전통의 가마솥 "모두랑 쌍화탕" 정읍 쌍화차거리, 40년 전통의 가마솥 "모두랑 쌍화탕" 전라북도 정읍에 가면 꼭 가봐야 할 곳, 바로 정읍 쌍화차 거리입니다. 지난번 친구들 모임 때 가고 싶었으나 시간이 없어 들리지 못했는데, 최근 정읍에 급하게 다녀올 일이 있어 갔다가 반가운 친구와 만난 곳이 바로 정읍 쌍화차 거리입니다. 쌍화차 거리에서 가장 유명한 집이라고 하는 모두랑 쌍화탕에서 쌍화탕을 마셨는데, 전통 옹기에 끓인 쌍화탕의 진한 맛이 정말 매력적인 곳이더군요. 이곳에서 운영한 지 40년 된 쌍화탕 전문점, 모두랑 쌍화탕의 맛을 보고, 정읍 쌍화차 거리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모두랑 쌍화탕 영업시간 평일/토요일 10:00~21:00, 일요일 13:00~21:00 휴무일 없음 주차장 맞은편 정읍경찰서 앞 공영주차장 정읍 쌍화차거리 .. 2022. 4. 12.
고창 풍천장어 맛집, 동호해수욕장에 있는 바다마을 장어구이 고창 풍천장어 맛집, 동호해수욕장에 있는 바다마을 장어구이 지난 연말에 고창에 볼 일이 있어 다녀왔는데요. 고창하면 생각나는 대표적인 특산품은 풍천장어죠? 떡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시골 친구들과 낮에 잠깐 만나 고창 동호해수욕장에 있는 바다마을 장어구이에서 오랜만에 풍천장어를 맛있게 먹고 왔습니다. 개인적으로 입이 짧은 편이라 생김새도 이상하고 느끼할 것 같아 장어 종류를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요. 예전에 부모님과 방문하여 먹어본 이후로 시골에 가면 종종 바다마을 장어구이를 찾아 먹곤 합니다. 고창 풍천장어 맛집, 바다마을 장어구이에서 풍천장어 먹은 후기입니다. 바다마을 장어구이는 고창 동호해수욕장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고창 동호해수욕장은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 있는 해수욕장으로 1967년에 개장한 곳입니.. 2022. 1. 5.
지리산휴게소 대구방향, 88올림픽고속도로 준공 기념탑 (광주대구고속도로) 지리산휴게소 대구방향, 88올림픽고속도로 준공 기념탑 (광주대구고속도로) 오랜만에 처가에 가면서 광주대구 고속도로를 이용했습니다. 옛날엔 중앙 분리대도 없는 편도 1차선이어서 국도같은 고속도로였는데, 4차선으로 확장해 놓으니 달릴만하더군요. 당시 제한속도 80km로 추월이라도 할라치면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로 위험한 도로였죠. 대구광주고속도로는 광주시 문흥동에서 대구시 옥포면에 이르는 181.9km의 고속도로인데요. 88서울올림픽을 준비하면서 1984년 개통할 당시에는 88고속도로(88올림픽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다가, 2015년 전구간 4차선 도로로 확장하면서 광주대구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변경했습니다. 광주대구고속도로의 지리산휴게소 대구방향에는 준공 당시에 88올림픽 고속도로 준공기념탑이 있어 사진.. 2021. 10. 17.
광주 송정떡갈비거리(골목) 맛집, 송정떡갈비 광주 송정떡갈비거리(골목) 맛집, 송정떡갈비 광주 송정동에는20여 개의 떡갈비 전문점이 모여있는 송정 떡갈비거리 골목이 있습니다. 예전부터 송정떡갈비가 먹고 싶었는데 이번 기회에 방문해서 먹고 왔네요. 다른 곳의 떡갈비는 소고기를 잘게 다져 만들지만, 송정떡갈비는 특이하게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섞어서 만든다고 합니다. 물론 원래 송정 떡갈비 골목에서 소고기를 이용했다는데, 1990년대 후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재료비가 오르자 이런 조합을 만들어 냈다고 전해지네요. 덕분에 맛도 더 부드러워지고 가격도 착해졌다고. 광주 송정동 떡갈비거리에서 가장 인기있는 떡갈비 맛집을 검색해서 찾아간 곳은 송정떡갈비 1호점. 송정떡갈비거리 중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정 떡갈비거리는 광산구청 안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200.. 2021. 10. 11.
영광 백수해안도로 드라이브 코스로 좋네요 영광 백수해안도로 드라이브 코스로 좋네요 백수해안도로는 77번 국도를 타고 영광군 백수읍 백암리에서 대신리를 거쳐 길용리까지 이어지는 16.8km의 해안도로를 말합니다. 해당화와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일명 해당화꽃 삼십리길이라는 애칭도 있는 곳이네요. 구불구불한 해안을 따라 해안절벽과 기암괴석(모자바위, 거북바위), 암초, 섬(칠산도, 안마도, 송이도) 등을 감상할 수 있고, 노을전시관, 목책산책로, 365계단 등이 있어서 서해바다를 바라보며 힐링할 수 있는 영광군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드라이브코스로 무척 멋진 곳입니다. 지난 연휴에 근처 지나갈 일이 있어서 백수해안도로 드라이브하며 풍경을 담았습니다 법성포 굴비골목을 지나 백수해안도로 시작을 알리는 영광대교가 있습니다. 영광대교는 영광군 백수읍과 홍농읍.. 2021. 10. 7.
[동학농민운동] 전봉준의 고창 무장 동학농민혁명 기포지(발원지) [동학농민운동] 전봉준의 고창 무장 동학농민혁명 기포지(발원지) 동학농민운동은 1894년(고종 31) 전라도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입니다. 그 동학농민혁명 발원지가 고창군 공음면에 있습니다. 공음에서 동학농민운동이 시작되어 무장현관아와 읍성을 지나 전봉준 생가를 거쳐 진격했다고 합니다. 예전부터 지나갈 때 표지판을 보고 어떤 곳인가 궁금하기만 했는데, 이번에 지나가면서 잠시 둘러봤는데요. 전봉준 장군과 동학농민혁명 기포지(발원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에 있는 선운대로의 구암교 동학의 횃불 모형으로 꾸며 놓아 이곳이 동학농민운동과 관련이 있구나라고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 발원지는 작은 공원형태로 되어 있어 입장료나.. 2021. 10. 4.
일몰(낙조)이 아름다운 고창 구시포 해수욕장 일몰(낙조)이 아름다운 고창 구시포 해수욕장 지난 추석 연휴에 일몰을 보러 고창 구시포 해수욕장에 해질 무렵 잠시 다녀왔습니다. 구시포 해수욕장은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에 위치한 해수욕장으로 길이가 1,7km에 이르고 우거진 송림, 편의시설이 나름 잘 갖추어진 고창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입니다. 최근 해변 양쪽으로 방파제가 들어서고 구시포항이 개발되면서 가막도라는 섬에 들어갈 수 있고, 이곳에서 바라보는 낙조가 일품인 곳이기도 하죠. 국가어항 개발사업으로 구시포항은 해안, 내륙관광지와 연계되어 매년 방문객들이 늘어나고 있답니다. 추석연휴에 구시포 해수욕장의 일몰과 낙조 풍경을 담았습니다. 최근에 구시포 해수욕장 상징조형물로 만든 포토존이라고 합니다. 구시포 해수욕장에서 고창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인 동호해수욕장까.. 2021. 10. 3.
광주 광산로 광산거리 풍경 광주 광산로 광산거리 풍경 광주시는 자주 방문하는 곳이 아니라 어쩌다 방문하게 되는데요. 가끔 방문하면 광주라는 도시의 매력을 느껴보려고 합니다. 이번 연휴에 방문한 1913 송정역시장도 그런 이유에서 방문했고, 길 건너 광산로(광산거리)도 우연히 보게 되어 걸어 봤습니다. 광주 1913송정역시장(송정삼색시장) 먹거리 쇼핑 광주 1913 송정역시장 먹거리, 계란밥과 불꼬챙이 광산거리는 광주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는 상권을 말하는데요. 송정권 상권을 활성화를 위해 쾌적한 거리를 가꾼 곳이더군요. 광주시 광산로는 송정역에서 국민은행 사거리를 잇는 일방도로 300미터 구간을 일컫는데요. 광산거리(광산로) 저녁 풍경을 담았습니다. 1913 송정역시장 길 건너에 있는 광산거리 입구 표지판 모습 광산거리 풍경 명절 .. 2021. 10. 1.
광주공항 주차장 등 이용정보 광주공항 주차장 등 이용정보 지난 연휴에 제주도에 사는 동생이 광주공항으로 비행기를 타고 온다고 해서 방문했습니다. 김포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을 보다가 광주공항을 보니 작은 도시의 버스터미널 같은 아담한 공항이더군요. 광주공항은 광주시 광산구 신촌동에 있는 국내선 전용공항으로 1948년에 옛 상무대에 광주비행장을 개설한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현재는 민간공항과 군공항을 겸하고 있습니다. 현재 광주공항은 제주와 김포공항, 양양을 오가는 비행기편이 20여편 취항하고 있는데요. 광주공항 주차장 정보와 풍경 등 이용정보를 담았습니다. 광주공항 저녁 모습 광주공항에 있는 이 건물 하나가 전부입니다. 한가위 달이 광주공항에 그름에 살짝 가려진 채로 떠 있네요. 광주공항 주차장 10분 이내는 무료, 30분 이내는 500.. 2021. 9. 30.
광주 1913송정역시장(송정삼색시장) 먹거리 쇼핑 광주 1913송정역시장(송정삼색시장) 먹거리 쇼핑 2014년 KTX 호남선 개통과 함께 문화관광형 육성시장으로 선정된 송정 삼색시장. 매일 열리는 상설시장인 송정 매일시장, 5일장으로 열리는 송정 5일장, 광주광역시 송정역 앞에 있는 1913 송정역시장 등 3가지 색깔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로 송정 삼색시장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3곳 모두 광주 송정역에서 도보로 10분 이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1913 송정역시장은 송정역 바로 앞에 있어 여행객들에게 인기있는 관광명소가 되었는데요. 시장 이름에 붙은 1913은 호남선 가운데 목포와 송정리를 잇는 구간이 개통된 해를 가리키며, 시장 또한 그때 개시되었다는 역사성을 드러내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지난 연휴에 광주에 들러 관광시장인 1913 송정역시장에 .. 2021. 9. 29.
고창 가볼만한 곳, 선운산 도립공원과 선운사 고창 가볼만한 곳, 선운산 도립공원과 선운사 지난 추석연휴에 방문한 선운산 도립공원. 선운산 도립공원에는 조계종 24교구 본사인 선운사를 품고 있는데, 577년(백제 위덕왕 24)에 검단선사가 창건한 사찰로 고려 때에는 호남지방에서 가장 큰 사찰이었던 곳입니다. 선운사 대웅전과 만세루,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금동지장보살좌성, 지장보살좌상, 도솔암 마애불, 참당암 대웅전, 석조지장보살좌성 등의 보물과 동백나무숲과 송악, 도솔암 장사송 등이 있어 문화재로 가득한 곳이기도 합니다. 학창시절에 한 달에 한 번은 방문했던 선운사지만 시간이 많이 흘러 선운산도립공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온 것 같습니다. 선운산도립공원과 선운사 풍경을 담았습니다. 선운산 도립공원에는 선운사를 비롯하여 숲 속을 1km정도 걸어가면 신라.. 2021. 9. 27.
고창 핑크뮬리를 볼 수 있는 곳, 청농원 고창 핑크뮬리를 볼 수 있는 곳, 청농원 전북 고창에 최근 보라색 물결이 이는 라벤더 가든과 붉은색이 넘실대는 핑크뮬리 가든이 생겼다고 해서 다녀왔습니다. 고창군 공음면 청보리축제와 메밀꽃 축제로 유명한 학원농장 근처에 청농원이라는 곳입니다. 청농원은 마을의 옛이름인 맑은 개울가 마을이라는 뜻의 청천 마을에서 따 온 곳인데요. 2만 여평의 넓은 공간에 한옥숙박과 방갈로 캠핑, 라벤더정원, 핑크뮬리정원, 수국정원, 소나무 산책로 등 자연 속에서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 놓았더군요. 남쪽이나 중부지방엔 아직 핑크뮬리가 붉게 물들지 않았는데, 청농원의 핑크뮬리는 붉고 고운 양탄자를 깔아 놓은 듯한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지난 추석연휴인 9월 20일, 월요일에 핑크뮬리를 볼 수 있는 곳, 청농원과.. 2021. 9. 24.
선운산도립공원, 선운사 꽃무릇(상사화) 선운산도립공원, 선운사 꽃무릇(상사화) 지난 추석연휴에 부모님 산소 성묘를 다녀오기 위해 고향인 고창에 다녀왔습니다. 연휴 첫날 늦은 시간에 도착해서 이튿날인 일요일에 선운산 도립공원에 붉고 흐드러지게 피어있을 꽃무릇을 보기 위해 다녀왔네요. 꽃무릇은 9월 ~ 10월에 붉은 색으로 치고 잎이 없는 비늘줄기에서 나온 30~5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피는 꽃입니다. 어렸을 때 선운산 도립공원에 갔을 때에는 상사화로 알고 있었는데, 정식 명칭은 석산 혹은 꽃무릇이 옳은 표현입니다. 9월 19일에 선운산 도립공원에 방문했을 때에서 선운사 위쪽은 꽃무릇이 지고 있었고, 아래쪽엔 붉은 양탄자를 깔아놓은 듯한 멋진 풍경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선운산 도립공원, 선운사 꽃무릇 풍경사진을 감상해 보시기 .. 2021. 9.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