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휴식같은 여행으로의 초대 ♪♩♬~
경기도 북부.인천시 여행

고양시 한강변 산책로, 고양대덕생태공원

by 휴식같은 친구 2024. 6. 3.
반응형

고양시 한강변 산책로, 고양대덕생태공원

 

 

고양 대덕생태공원은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덕은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간은 고양시 창릉천 합류부부터 고양시와 서울시 경계까지로 길이는 3.8km, 면적은 810,000㎡에 이릅니다.

 

자유로와 한강 사이에 있고, 난지한강공원과 인접해 있는 한강공원으로 근래 들어 산책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곳인데요.

많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공원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덕이라는 이름은 크고 어질며 덕이 높은 분이 계신 곳이라는 의미인데요.

선조시대의 문인인 행촌 민순(1519-1591)은 벼슬길에 있다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고양 대덕동 관내 현천동에 머물면서 수많은 제자들을 가르치고 행촌집을 집필하는 등의 업적으로 그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명칭이라고 합니다

현천동 거무내 마을에 민순 선생의 묘소가 있고, 대덕생태공원 동쪽에 대덕산이 있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기만 하다가 이번에 대덕생태공원 탐방로를 따라 걸었습니다.

 

대덕생태공원의 시작점은 창릉천이 한강에 합류하는 지점이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방화대교 아래에서 시작되어 서울시 경계인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과 연결되는 지점까지 이어집니다.

 

2013년에 고양난지생태공원으로 개장을 했고, 4년이 지난 2017년에 고양시에서 인근에 있는 서울시 난지한강공원으로 인식된다는 이미지 때문에 고양 대덕생태공원으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이후 생태공원에 대한 정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며 자전거도로와 쉼터, 습지 생태탐방로 등이 잘 되어 있는 편입니다.

 

대덕생태공원에는 생태교육센터, 습지생태연못, 부들연못, 보리수터널, 조류관찰대, 탐방로, 메타세쿼이아 산책로 등이 있으며 야생화관찰원에는 구절초, 은방울꽃 등 100여종 313,000여 본의 식물이 심어져 있습니다. 

 

고양 대덕생태공원 안내도

 

한강의 민물과 서해의 바닷물이 만나 하루 두 차례 강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으로 조수간만의 차로 인해 다양한 동식물을 만날 수 있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창릉천 한강합수부에서 한강 다목적운동장까지 3.8km를 걸었습니다.

 

방화대교 북단 쉼터인 행호

행호는 행주강의 호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고양 대덕생태공원 주차장은 방화대교 북단 아래, 자유로 고가, 수원문산고속도로 북로 교차로 아래의 고양 강매석교공원 무료주차장(주소:강매동 652-2로 검색)을 이용하거나, 고양고덕생태공원 주차장(현천동 768)을 이용하면 됩니다.

 

방화대교 북단

 

방화대교는 서울 강서구와 고양시 강매동을 연결하는 한강의 27번째 다리이며, 1999년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고속국도 제130호)에 건설된 다리입니다.

중앙부 540m의 아치트러스교는 비행기 이착륙을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미관이 뛰어나고 야경도 무척 아름다운 다리입니다.

 

방화대교 북단, 서쪽에는 행주산성이 있습니다.

 

행주산성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토성(전체 1km)으로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에는 권율장군 수하 군사들과 의병, 승병, 여성 등이 힘을 합쳐 왜군과의 전쟁에서 크게 이겼던 행주대첩의 현장이죠.

 

그 아래쪽에는 행주대교와 방화대교 그리고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행주산성역사공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행주산성역사공원과 행주산성을 따라 조성한 산책로를 고양 행주산성역사누리길이라고 하는데요.
행주산성역사공원 - 팔각정전망대 - 행주 수위관측소 - 덕양정- 행주대첩비 - 행주산성 토성 - 대첩기념관 - 충장사 - 행주산성 입구 - 행주서원 순으로 걸어도 무척 좋습니다.


[고양 행주산성역사누리길] 행주산성역사공원-행주수위관측소-행주산성-행주서원
눈꽃이 핀 행주산성역사공원 설경

 

오솔길처럼 예쁘게 조성된 생태탐방로

 

생태탐방로를 걷다 보면 중간중간에 한강변에서 전망을 바로 볼 수 있게 꾸며져 있습니다.

봉긋하게 솟아오른 산은 강서구 가양동에 있는 궁산(74.4m)입니다.

 

대덕생태공원 한강 하류변에서는 가끔 대인지뢰가 발견되고 있다고 합니다.

폭우로 지뢰가 유실되어 온 것으로 확인되는데요.

실제 대인지뢰로 인해 다치는 사고도 두어 번 발생하고 있으니, 지정된 구역 외에는 출입을 하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고양 대덕생태공원 쉼터

 

고양 대덕생태공원 야생화원

꽃창포와 수크렁, 원추리, 꽃범의꼬리, 맥문동, 쑥부쟁이, 노랑꽃창포, 벌개미취 등의 군락지를 조성해 놓은 곳입니다.

 

금계국과 클로버꽃, 개망초 등 다양한 늦봄의 꽃들이 피어 있습니다.

 

금계국 단지

 

메타세쿼이아길

 

 

마곡대교

 

마곡대교(마곡철교)는 강서구 마곡동과 고양시 현천동 사이를 연결하는 1090m 길이의 철교로 인천국제공항철도로 2010년 개통된 다리입니다.

한강 다리 중에서 잠실철교(자동차와 철도가 동시에 다니는 다리), 한강철교, 당산철교에 이은 4번째 철도전용 다리입니다.

 

야생화단지의 금계국과 개망초

 

대덕 생태공원 앞 작은 섬 하나

 

갈퀴나무꽃

 

하류 하중도의 일부 산책로는 원시림 같은 수풀이 우거져 있습니다.

대덕생태공원은 생태를 보존하기 위해 최소한의 관리만 하고 있습니다.

 

이상한 모양의 식물

 

물망초다리 앞 둥지 포토존

 

대덕생태공원의 물망초다리

습지 위를 걸을 수 있도록 만든 다리입니다.

 

대덕생태공원을 지나가는 자전거도로

 

산책로

 

용치전망대와 용치다리

 

용치는 전차가 통과할 수 없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콘크리트 구조물인데요.
적의 전차가 진입할 때 이 용치를 무너뜨려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전복시킬 수 있는 장애물입니다.

 

 

 

철거하기엔 비용이 많이 들어 용치공원과 함께 한강과 철새를 조망할 수 있는 용치전망대(용치탐조대)를 만들어 개방하고 있습니다.

 

고양대덕생태공원, 용치공원과 용치전망대(용치탐조대)

 

대덕생태공원 동쪽, 난지한강공원이 접해 있는 곳에는 종로구 한강 다목적운동장이 있습니다.

 

천연잔디축구장 2면이 있으며, 4~11월에만 개장하고 있습니다.

운영일은 주 5일(화/수/금/토/일)이며, 월요일과 목요일, 국경일, 기상 악화 시에는 휴장을 합니다.

 

종로구 시설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예약 후 이용할 수 있답니다.

 

서울시와 고양시 경계

 

 

고양 대덕생태공원에서 다리만 건너면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으로 연결됩니다.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산책

 

 

생태공원은 철재들과 식물의 휴식처로 깔끔하지는 않지만 도심에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어 매력적인 곳인데요.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아 더욱 좋은 곳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