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휴식같은 여행으로의 초대 ♪♩♬~

조선시대 방어시설2

조선시대 강화도 방어시설, 초지진 조선시대 강화도 방어시설, 초지진  강화도 나들이 갔다가 초지대교로 빠져나오기 전, 잠시 초지진에 들렀습니다. 강화도는 삼국시대부터 군사시설 요충지였고, 고려시대엔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라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임시 수도로 삼았던 지역이죠.조선시대엔 한양의 주요 길목이라 더욱 중요한 지역이 되었고, 이곳에 5진 7보 54돈대를 설치했습니다. 초지진은 조선시대 방어시설인 5진 중 하나인 것인데요.많은 진과 보, 돈대를 다 돌아보지 못한다면 초지진과 광성보 정도는 돌아볼 것을 권해 드립니다. 초지대교 입구 쪽에 있는 초지진 모습 조선시대 방어시설로 5진 7보 54돈대가 있는데요. 진은 매우 중요한 지리적 위치에 있으면서 방어와 공격을 주로 할 수 있게 만든 요새이고요.보는 작은 성이라는 의미로 진 다음으로 중.. 2024. 12. 19.
조선시대 강화도 방어시설, 분오리돈대 조선시대 강화도 방어시설, 분오리돈대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고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접경지역이나 해안지역에 평지보다 높은 평평한 땅에 설치한 소규모 군사시설을 말하는데요.조선 인조 때 남한산성에 2개소를 설치했었다는 기록이 있고, 1796년(정조 20)에 수원 화성 성곽에 3기의 돈대가 설치되었습니다. 강화도에는 병자호란 전후 전란 때 임금과 조정이 대피하는 보장처가 되면서 5개의 진과 7개의 보, 그리고 돌로 만든 작은 돈대가 조선 숙종 때 52개소가 설치되었고, 영조와 고종 때 하나씩 추가 설치하여 총 54개소의 돈대가 있었다고 합니다.강화도 해안선 둘레가 100여 km에 이르기 때문에 2km마다 돈대가 하나씩 있는 꼴로 돈대의 고장이라 할 수 있는 곳입니다. '진'은 '보'보다 다소 큰 부대.. 2024. 5.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