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슈퍼컴퓨터 현황과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를 알아보자
오늘은 슈퍼컴퓨터(Super Computer)란 무엇이고,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등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느 순간부터 슈퍼컴퓨터 순위를 선진국의 국가경쟁력이나 과학
기술의 수준의 척도로 보는 경향이 강해진 것 같습니다.
슈퍼컴퓨터를 이용하면 과학기술 연구에 비용과 시간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죠.
우주의 생성비밀이나 유전정보 같은 분야에서는 슈퍼컴퓨터가 아니면 연구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OECD 국가들은 슈퍼컴퓨터 개발에 집중하고 있고, 특히 미국과 중국은 그 경쟁이 과열되어 가는 양상입니다.
앞으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이 급속도로 개발, 발전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감당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의 중요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더욱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슈퍼컴퓨터(Super Computer)는 연산처리속도가 엄천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슈퍼컴퓨터 속도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습니다.
다만, 1993년부터 매년 6월 유럽에서 ISC(International Supercomputing Conference)와 11월 미국에서 열리는 SC(Supercomputing Conference)에서 세계 모든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 500위까지 등수를 매기고 여기에 포함되는 컴퓨터를 슈퍼컴퓨터라고 불립니다.
ISC(국제슈퍼컴퓨터학회) 등에서 500위 권에서 벗어나면 슈퍼컴퓨터의 성능은 다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합니다.
요즘의 슈퍼컴퓨터 속도는 Pflops로 측정하는데요.
FLOPS는 FLoating-point Operations Per Second를 말하는데 1초당 부동소수점 연산명령을 몇 번 실행할 수 있는지를 말합니다.
즉, 1초에 1,0000조번(10의 15승 : 페타, Peta))의 수학 연산처리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수치로는 얼마나 빠른지 잘 모르시겠죠?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텔 프로세스의 속도를 비교해볼까요?
8세대 프로세서인 인텔 i3프로세스는 17GPlops 전후, 인텔 i5 프로세스는 25GPlops 전후, 인텔(Intel) i7 프로세스는 속도가 53 ~ 560GFlops, 9세대 프로세서인 인텔 i9프로세스가 600~900GPlops 정도가 나옵니다.
여기서 GFlops는 10의 9승(기가 : Giga)으로 1초에 10억 번의 연산을 처리하는 것인데요.
1PFlops는 1GFlops에 비해 10의 6승, 그러니까 100만배 빠른 컴퓨터입니다.
즉, i7 프로세스가 세계 1위인 중국의 선웨이 타후라이트의 93PFlops의 처리속도를 물리적으로 따라오려면 i7 프로세스가 장착된 컴퓨터 170,000 ~ 1,000,000대가 할 일을 처리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 겁니다.
대충 감이 오시죠? ㅎㅎ
엄청나게 빠르다는 사실은 확실하네요.
슈퍼컴퓨터 역사
세계 최초의 슈퍼컴퓨터는 1964년 미국 CDC의 세이무머 크레이(Seymour Cray)가 설계한 CDC 6600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속도로 1MFlops의 속도로 현재의 개인용컴퓨터(PC)보다도 훨씬 느린 속도의 컴퓨터였으니 자랑스럽게 생각하시길...
지금 가지고 있는 PC가 30년 전에는 슈퍼컴퓨터급이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씩 발전한다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이 아직까지 정확히 들어맞아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후 세이무머 크레이(Seymour Cray)는 CDC로부터 독립하여 독보적인 기술로 1970년대와 80년대를 이끌어 가다가 1993년에 Cray-3을 출시했지만 팔 곳이 사라져 파산하고 맙니다.
주 고객이었던 미 국방부의 냉전종식에 따라 예산감축과 핵무기 실험을 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당시의 Cray-3은 인텔 i7 프로세스 성능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후 국가별로 슈퍼컴퓨터 개발에 발 벗고 나선 상황으로 현대의 슈퍼컴퓨터는 수백만 개 이상의 코어를 탑재하고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빠르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슈퍼컴퓨터는 도대체 어디에 사용할까요?
슈퍼컴퓨터의 용도는 무엇일까 알아보겠습니다.
슈퍼컴퓨터는 대용량 병렬처리를 요구하는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병렬처리 : 복수의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에서만 실행하는 처리방식)
먼저 군사용으로는 이지스함에서 다수의 목표물에 대한 동시교전 능력과 무기관제, 탄도계산에 사용합니다.
그리고 동영상 인코딩, 3D 렌더링 등에도 사용하죠.
아울러 핵실험 시뮬레이션이나 워게임, 지구과학(우주 시뮬레이션)과 생물학(DNA분석 등), 물리학(전산유체역학), 화학(고분자분석), 수학(연산, 암호해독 등) 등의 과학연산에도 사용합니다.
지구과학/물리학/수학 등 모든 분야가 망라된 미분방정식을 처리하는 기상청 등의 날씨 예측시스템에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가예측과 기술시연에도 활용을 하고 있는데요.
몇 년 전 이세돌과 세기의 바둑대결을 한 '알파고'가 슈퍼컴퓨터였고,
IBM에서 만든 '왓슨(Watson)'이라는 퀴즈쇼 참여컴퓨터도 슈퍼컴퓨터입니다.
인간과 체스게임을 펼쳤던 '딥 블루'라는 컴퓨터도 빼놓을 수 없겠네요.
앞으로 슈퍼컴퓨터의 활용분야는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빅데이터(Big Data)를 처리하기도 하고, 온라인 게임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등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가장 최근인 2018년도 6월 기준(ISC)의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는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2018년도 슈퍼컴퓨터 순위가 요동쳤네요.
1위는 미국 IBM과 엔비디아가 개발한 IBM 서밋(IBM Summit, 122.3PFlops)
2위는 중국의 타이후라이트(TaihuLight, 93PFlops)
3위는 IBM 시에라(IBM Sierra, 71.6PFlops)
4위는 텐허-2A(Tianhe-2A, 61.4PFlops)
5위는 AI Bridging Cloud Infrastructure(ABCI)(19.9PFlops)
6위는 스위스의 피즈다인트(Piz Daint, 19.6PFlops)
7위는 미국의 타이탄(Titan, 17.6PFlops)
8위는 미국의 쉐퀘이아(Sequoia, 17.2PFlops)
9위는 미국의 트리니티(Trinity, 14.1PFlops)
10위는 코리(Cori, 14PFlops)
11위는 대한민국의 누리온(Nurion, 13.9PFlops)
12위는 일본의 오크포리스트(Oakforest, 13.6PFlops)
13위는 이탈리아의 HPC4
14위는 프랑스의 Tera-1000-2
.......
75위는 한국의 누리(Nuri, 2.9PFlops)
76위는 한국의 미리(Miri, 2.9PFlops)
(442억원으로 2016년 기준으로 정부가 가진 물품 중 가장 비싸다고 하나, 중국의 타이후라이트 성능의 2.6%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
450위 한국의 HP Apollo XL
454위 한국의 Cluster Plaform DL380
471위 한국의 Cluster Plaform DL380
더 자세한 슈퍼컴퓨터 순위 1~500위까지는 SC슈퍼컴퓨터 순위사이트, ISC 슈퍼컴퓨터 순위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미국 IBM사의 서밋(Summit)이 초당 1경 2천조회 연산처리속도(122.3PFlops)를 달성해서 중국의 타이후라이트보다 빠른 슈퍼컴퓨터가 1위에 올라 5년 만에 왕좌를 탈환했다고 합니다.
서밋은 30년간 PC가 처리할 수 있는 일을 1시간 만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서밋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이 적용되고, 중앙처리장치(CPU)가 9,216개, GPU가 27,648개가 사용됐으며 테니스장 두 개 크기를 자랑한다고 합니다.
===========================
참고로 미국과 일본, EU는 엑사플롭스(EFlops, Exa, 10의 18승) 슈퍼컴퓨터를 2021년까지 개발하기로 하고, 여기에 미국은 2,9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고 합니다.
EFlops는 PFlops의 1,000배 이상의 속도(초당 100경번 연산)를 자랑하는 규모입니다.
우리나라의 슈퍼컴퓨터 현황은 어떨까요?
2001년에 세계 TOP 500 슈퍼컴퓨터 목록에 우리나라 컴퓨터는총 16대가 등재되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2017년 11월 기준)는 위에서 보신 것처럼 기상청의 누리와 미리가 각각 75위, 76위에 기록되어 있고, 500위 안에는 민간기업 3대를 포함하여 총 6대만 등재가 되어 있습니다.
해마다 500위 안에 슈퍼컴퓨터 대수가 줄어들고 있는 상태인 것이죠.
다행히 금년 6월에 국산기술로 만든 누리온(Nurion)이 당당히 11위에 랭킹이 되었네요.
그리고 국내 슈퍼컴퓨터들은 GPU 등의 가속기를 탑재한 시스템은 없고, 모두 전통적인 CPU를 탑재한 시스템만 보유 중입니다.
우리나라 슈퍼컴퓨터 역사는 1988년부터 시작되는데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산하 시스템공학연구소의 크레이사의 Cray-2S 시스템이 우리나라 최초의 슈퍼컴퓨터라고 합니다.
이후 1993년에 슈퍼컴퓨터 2호기인 18GFlops 성능의 Cray-C90이 도입되었고, 현재까지 4호(2010년 도입 당시 세계 15위에 해당)까지 있습니다.
기상청에서는 현재까지 4호기까지 있는데 3호기는 2010년 세계 19위, 20위에 올랐던 해온과 해담으로 이제 그 반열에서 물러났고, 4호기로 누리와 미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누리온은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그동안 분자모델링, 전산유체역학, 기상 기후 모델링 등 전통적인 슈퍼컴퓨터 활용 외에도 지능정보사회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 분석이나 기계학습 분야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연간 총유지비는 40억원이고, 전기요금만 25억원에 달할 뿐만 아니라 규모도 커서 전용건물을 지어 입주했다고 합니다.
5호기 도입으로 4호기(2011년 가동)는 대학과 연구기관으로 무상이전된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우리나라는 2022년까지 추진되는 제2차 국가초고성능(HPC)에서 국가 차원의 슈퍼컴퓨터 개발을 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고,
기상청도 2020년까지 600억원을 투입해 기상청 슈퍼컴퓨터 5호기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슈퍼컴퓨터는 그 나라의 과학기술의 척도인만큼 우리나라도 앞으로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슈퍼컴퓨터 활용방안과 수요를 분석해서 OECD 국가들에 뒤지지 않는 정책과 발전이 있어야 되겠습니다.
(참고자료 : Naver 지식백과, 중도일보 기사(2018.3.9), 나무위키, https://www.top500.org 등)
지금까지 슈퍼컴퓨터에 대한 모든 것
슈퍼컴퓨터 정의부터 역사, 순위, 세계와 국내 현황 등에 대해 알아봤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요리.IT.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 JBM 과정, 리골드(leeGold) 목걸이공장 견학 (34) | 2018.07.01 |
---|---|
티스토리 블로그 1년 결산 그리고 구글애드센스 수익공개(4차) (82) | 2018.06.27 |
키친아트 빙수기 및 팥빙수재료 구입, 팥빙수 만들기 (42) | 2018.06.20 |
크롬방문기록삭제 및 크롬검색기록삭제 알아보기 (32) | 2018.06.18 |
우리나라 슈퍼컴퓨터 현황과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를 알아보자 (40) | 2018.06.16 |
[취미생활]보석십자수 액자 만들기 (32) | 2018.06.14 |
제44회 UAE 아부다비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유공자 시상식 이모저모 (42) | 2018.05.30 |
2018 한국주얼리디자인포럼, 주얼리트렌드와 인플루언서 (16) | 2018.05.25 |
미니태양광 보조금 지원 받아 전기요금 절감 해 볼까? (24) | 2018.05.19 |
세계슈퍼컴퓨터 1위2위가 우리중국이라니 너무기쁘네요^^ 중국이 미국을 초과했다니 더기쁘네요^^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답글
슈퍼컴퓨터 경쟁이 치열한데 미국과 중국이 자존심 싸움을 하고 있네요.
엎치락뒤치락입니다.
슈퍼컴퓨터란건 첨들어보는데 어쨌든 상위권이라니 기분은좋네요
답글
우리나라는 매년 Top 500위안에 대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하네요.
4차산업혁명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입니다.
중국의 발전속도가 놀랍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발전할지 모르겠네요^^
답글
그러게요. 이젠 엑사플롭스를 개발하고 있다니 놀랍습니다.
영화에서 처럼
인간이 슈퍼컴퓨터에 지배당하는 시대는 결코 오지 말아야 하는데.. ㅋㅋ
여유로운 한주 시작하세요.. ^^
답글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인공지능컴퓨터가 가속화 되리라 생각이 드는데 인간의 존엄성을 훼치지 않는 선에서 발전시킬 윤리가 필요하죠.
슈퍼컴퓨터의 처리속도를 보니 헉 소리가 나네요.^^
중국에서 1,2위의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다는것을 보니...
중국에서도 미래 IT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는것 같아요.
답글
중국의 전방위적인 강국으로 향한 야망이 무섭습니다.
슈퍼컴퓨터도 마찬가지구요.
중국이 과학기술 분야에 투자를 많이 하는가보군요 ..
기상청 슈퍼컴퓨터 이름이 예쁘네요 ... ㅎㅎ
우리나라도 좋은 슈퍼컴퓨터가 있어서
더욱 알찬 정보 제공해 줄 수 이어가길 바랍니다 ..
답글
네. 중국의 전방위적인 강국포스가 무섭습니다.
우리나라도 10위권내에 두어대는 있으면 좋겠네요.
역시 중국이군요. 대륙이라...
우리나라는 더 발전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답글
맞아요. 계속 슈퍼컴퓨터 부분에선 뒤쳐지고 있습니다.
누리,미리 힘내럇~ ㅋㅋ
중국은 뭘해도 무서운 속도로 따라오네요
앞으로 어케 될지 참 궁금하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답글
ㅎㅎㅎ
6월 이번달에 10위권 내에 드는 슈퍼컴퓨터가 나온다니 기대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헐.. 중국이 엄청나군요...
답글
네. 무서운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와... 우리나라도 컴퓨터 기술이 역시 상당하네요
신선하고 재밌는 정보 알아갑니다
답글
ㅎg IT강국이니 이보다는 순위가 높아야 한데 좀 낮습니다.
감사합니다.
날씨 예보에 슈퍼컴퓨터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한국도 업데이트를 슬슬 해야하지 않을까...^^
답글
네. 맞아요. 국가의 경쟁력 지표라 하는데 슈퍼컴퓨터 개발에 신경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중국이 상위를 다 차지하고 있네요..
역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게 보입니다~
우리도 좀 더 분발해, 상위권에 자리매김하길 바라봅니다.
답글
중국이 지금은 앞서 가고 있는데 경쟁이 치열한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6월에 10위권 내의 슈퍼컴퓨터가 나온다고 하니 기대되네요.
와 중국 무시 못하겠네요.
답글
세계 넘버 2에 해당하는 나라죠.
곳곳에서 중국이 기침하면 우리나라는 감기걸리는 수준까지 된 듯 합니다.
우리나라...대단한데요.ㅎㅎ
잘 보고가요
답글
저력있는 민족이잖아요.
미래의 경쟁력은 남북이 함께해야 시너지가 나온다고 하더군요.
수퍼컴퓨터에 관한 정보를 보면서 1위와 2위가 중국이라는 점이 놀랍군요. 전 미국인줄 알았는데요.
답글
두 나라 경쟁이 치열합니다.
미국은 2년후에 엑사플롭스라는 거대한 슈퍼컴퓨터가 나올것 같습니다.
무어의 법칙 때문에 고생한다는 농담을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ㅎㅎ
중국이 1,2위를 다 차지하고 있군요... 우리나라는... ㅜㅜ
답글
관련업종에 종사하시는분들은 너무 빠르게 변하니 잠시 여유를 즐길수도 없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나라는 아직 10위 안에 없다니...ㅠㅠ 좌절이네요.
30년 전 pc가 슈퍼컴퓨터급이었다면... 저희도 10~20년 후쯤에는 요런 컴퓨터를 슬림하게 집에서 보급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까요? 우앙~
답글
ㅎㅎ
이번달에 슈퍼컴이 한대 나온다고 하는데 그럼 10위안에 한대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20~30년 후에 개인용컴퓨터가 나오면 지금의 슈퍼컴퓨터급 정도는 되겟죠....ㅎㅎ
슈퍼컴퓨터의 성능이 어마어마하네요ㅎㅎ;;
답글
요즘은 등치도커지고 성능도 커지는등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슈퍼컴퓨터 1,2위가 중국이라니
중국의 IT 기술이 대단하네요.
답글
이번에 미국이 역전 할것 같다고 하네요.ㅎ
몸집만으로도 그 위력이 느껴지는 컴터네요 성능은 얼마나 좋을지 엄청나네요
답글
우리가 생각하는 그 이상이겠지요.
엄청난데 보고 싶어집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