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워진 날씨, 1년에 두 번 모이는 친구들과의 부부모임을 위해 1박 2일 일정을 시작한 가운데 처음 방문한 곳은 조선 5대 궁궐 중 임금이 가장 오래 머물었던 창덕궁을 다녀왔습니다.
겨울이라 배경보다는 창덕궁의 전각을 주로 보며, 역사를 이해하는 관람이었던것 같습니다.
창덕궁은 북악산 왼쪽 봉우리인 응봉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조선의 궁궐로 1405년(태종 5년) 경복궁의 이궁으로 동쪽에 지어진 궁궐입니다.
처음에 창덕궁은 이웃한 창경궁과 서로 다른 별개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하나의 궁역을 이루고 있어 조선 시대에는 이 두 궁궐을 형제궁궐이라 하여 ‘동궐’이라 불리웠고 경희궁은 '서궐'이라 불리웠습니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으로 모든 궁궐이 소실되고 광해군 때에 다시 짓는 과정에서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기 전까지 조선의 법궁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기도 하죠.
경복궁의 주요 건물들이 좌우대칭의 일직선상으로 왕의 권위를 상징한다면 창덕궁은 응봉자락의 지형에 따라 건물을 배치하여 한국 궁궐건축의 비정형적 조형미를 대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비원으로 잘 알려진 후원은 각 권역마다 정자, 연못, 괴석이 어우러진 왕실의 후원이다. 현재 남아있는 조선의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창덕궁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배치와 한국의 정서가 담겨있다는 점에서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죠.
동궐도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조감도 형식으로 그린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궁궐 건축 그림으로 비단 바탕에 채색한 가로 576cm 세로 273cm 이며 국보 제249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순조 30년에 불타버린 환경전과 순조 34년에 중건된 통명전 경복전 건물은 없고, 터만 그려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작 연대는 1826년 ~ 1828년 경으로 추정된다고 하네요.
열여섯 폭의 비단에 먹과 채색 물감으로 당시 궁 안에 실재했던 누정, 다리, 담장은 물론 연못, 괴석 등의 조경과 궁궐외곽의 경관까지 세밀하게 그렸다는 점에서 당시 화원들의 뛰어난 화공기법과 정밀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에 동궐도는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궁궐 연구와 복원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인정전 서쪽에 자리잡은 궐내각사에는 동편에 약방, 옥당(홍문관), 예문관이 있고, 서편에 대유재, 소유재 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왕을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근위 관청으로 여러 부서가 밀집되어 있는 곳입니다.
인정전(국보 225호)은 창덕궁의 정전으로 국가의 중요한 의식을 치르던 곳입니다.
성전전으로 통하는 문인 선정문 모습입니다.
희정당 앞 마당 모습입니다.
희정대로 들어가는 입구인데 공사중인 관계로 바로 들어가지 못하고 뒤쪽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낙선재(보물 1764호)가 있는데 이곳은 너무 추워 가보지를 못했네요.
이곳은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 였습니다.
조선 24대 임금인 헌종은 김재청의 딸을 경빈으로 맞이하여 1847년에 낙선재를, 이듬해에 석복헌 등을 지어 수강재와 나란히 두었습니다.
석복헌은 경빈의 처소, 수강재는 당시 대왕대비인 순원왕후의 집이었는데, 후궁을 위해 궁궐 내에 건물을 새로 짓는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합니다.
창덕궁을 관람하다가 너무 추워 창덕궁 찻집(카페)인 동궐마루에 들어가 잠시 추위를 달래 봅니다.
겨울에 유일한게 따뜻한 공간이 이 동궐마루가 아닌가 싶네요.
추운 날씨였지만 창덕궁 전각과 후원을 관람이 즐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 준코노래타운에서 술마시고 노래하며 즐거운 모임을 했어요 (28) | 2017.12.27 |
---|---|
선유도공원 설경, 양화한강공원 설경 (16) | 2017.12.24 |
(종로 익선동맛집)샤브사브맛집 다다익선 (24) | 2017.12.23 |
조선 최고의 정원, 창덕궁 후원의 겨울이야기 (20) | 2017.12.22 |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개장, 천원으로 스케이트 타러가자 (22) | 2017.12.20 |
겨울방학 가볼만한곳, 뚝섬 눈썰매장에서 눈썰매 타고 빙어도 잡는 겨울축제 어떠세요? (12) | 2017.12.17 |
아이와 가볼만한 곳 이화여대 이대자연사박물관 (14) | 2017.12.16 |
가고 싶은 서울여행지, SNS에서 사랑받은 2017년 서울 관광지 알아보기 (28) | 2017.12.13 |
댓글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