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저렴한 열차 KTX 자유석 타보셨나요?
KTX 등 열차표를 예매하다 보면 일반석과 특실 외에도 자유석과 입석을 보셨을 겁니다.
막연하게 자유석에 대해서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서울시 내손안의 서울에 5% 저렴한 자유석에 대한 설명이 있길래 공유합니다.
12월이면 각종 모임이나 회식, 송년회 등으로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자가용이 아닌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KTX, SRT 같은 열차를 떠오르게 됩니다.
열차 예매할 때 보이는 '자유석'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유석이란?
자유석 제도는 열차의 특정호차를 자유석 차실로 지정하여 좌석을 지정하지 않고 승차권을 발매, 운용하는 제도입니다.
좀더 쉽게 말하자면 자유석은 버스나 지하철처럼 선착순으로 아무 자리에 앉아서 갈 수 있는 좌석을 말하는 것이죠.
지하철의 전 객차, 전 좌석이 자유석이라면, 기차는 지정된 객차(ex. KTX 18호차)에 한해서 자유석이 운영되어 먼저 좌석에 앉은 승객에게 좌석권이 주어진다고 합니다.
만약 자유석 지정 객차의 좌석이 만석이면 서서 가야 하고, 빈자리가 생기면 앉아서 갈 수 있는 것이죠.
자유석은 평일에 한하여 편성되는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편성되지 않습니다.
현재 KTX, KTX-산천, ITX-새마을, 새마을, ITX-청춘, 통근열차에 한해 운영되며 정기적으로 기차를 이용해 출퇴근 하는 정기권 고객, 좌석 미지정 이용객, 내일로 이용객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SRT는 자유석을 운영하지 않고 있고, 평일에만 편성된다는 사실은 이번에 알게 됐네요.
자유석의 장단점 ?
자유석은 일반좌석권(좌석지정 승차권)의 운임가에서 5%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유석이기에 창가 혹은 전원 콘센트가 있는 출입구 쪽 등 내가 원하는 좌석을 선택할 수도 있죠.
그렇다면 단점은 무엇일까요?
먼저 가격을 살펴보자면, 입석이 15%를 할인해 주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5%라는 적은 할인율입니다.
게다가 주중이라고 해도 금요일에는 앉아서 가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는 한정된 자유석을 발매함에도 정기승차권을 이용하는 승객들과의 경쟁, 혹은 다른 열차 자유석 지정 칸에 승차하는 자유석 승객들 간의 경쟁으로 인한 것이라 합니다.
빈자리가 없을 경우 장시간을 서서 갈 수도 있는 불편함을 초래하죠.
열차별 자유석칸의 위치는?
KTX의 경우에는 18호차를 기준으로 최대 5량까지 연결하여 자유석칸으로 이용합니다.
이처럼 탄력적으로 늘릴 경우에는 18호차에서 14호차까지 순차적으로 늘어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KTX산천은 8호차, ITX-청춘은 최대 3량까지 연결하며 이 경우엔 1층의 4호차와 5호차, 6호차를 자유석칸으로 지정합니다.
ITX 새마을은 6호차, 새마을호는 5호차, 통근열차/공항철도/광역철도는 전체, 누리로/무궁화호는 없습니다.
자유석과 입석의 차이는?
일반좌석이 모두 매진되면 입석과 자유석을 판매하게 되는데, 입석은 명칭 그대로 서서 가야 하는 승차권이고, 자유석은 특정 객차(ex. KTX18호차)에서 자유롭게 앉을 수 있는 좌석입니다.
입석은 자유석이 운영되지 않는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적용되지만 평일 중에도 자유석 편성이 없는 KTX에 한정하여 발매하고 있기도 합니다.
자유석은 5% 할인이 되지만, 입석은 일반 객실 요금에서 15%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서서 가는 건 피곤해, 입석이어도 앉아서 가고 싶다면?
입석은 기본적으로 서서 가는 승차권이지만, 장시간 동안 서 있는 것은 무척 고단한 일입니다.
KTX, SRT, ITX 열차에는 객차와 객차 사이 통로에 보조의자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일반 좌석보다 불편하긴 하지만 서서 가는 수고를 줄일 수 있죠.
특히 특실칸 출입구 통로에 있는 보조의자를 선점한다면 비교적 조용하고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앉아서 갈 수 있다는 사실!
자유석 예매 방법
KTX 자유석 승차권은 역 발매창구와 자동발매기를 통해 구매할 수 있고, 코레일톡 앱에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위 사진처럼 일반좌석이 모두 매진되어 ‘자유석’으로 표시되었을 때 자유석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죠.
출퇴근 시간대와 금요일 오후를 제외하면 대체로 앉아서 갈 수 있는 자유석. 좌석을 지정받지 않기 때문에 승무원의 승차권 검표에 쓰이는 좌석체크 PDA를 이용한 승차권 검표가 불가능해서 자유석 칸에서는 각 승객마다 승차권 검사를 철저히 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자유석을 이용한다면 승차권을 꼭 챙기는 것,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KTX 등 열차의 자유석과 입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제 조금 더 저렴하게 그리고 똑똑하게 입석과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겠네요. ㅎㅎ
'서울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수궁 전망대 / 정동전망대, 다락 카페 (46) | 2019.12.30 |
---|---|
코엑스 맛집, 하동관 곰탕 맛있네요 (32) | 2019.12.28 |
[DDP서울라이트 축제] 하이서울 패션쇼 in 동대문디자인플라자 (34) | 2019.12.26 |
DDP 서울라이트(Seoul Light) 빛축제 in 동대문디자인플라자 (34) | 2019.12.24 |
5% 저렴한 열차 KTX 자유석 타보셨나요? (26) | 2019.12.15 |
가산디지털단지 아울렛, W몰 주차장 및 이용안내 (38) | 2019.12.03 |
[명동나들이] 명동성당 가을풍경 (34) | 2019.11.15 |
떡박물관과 갤러리 카페 질시루(아름다운 종로 박물관 나들이) (26) | 2019.11.14 |
국립어린이과학관(주차장/관람안내) 아이와 가볼만한 곳 (16) | 2019.11.13 |
오, KTX 자유석을 이용하셧군요?
저는 평상시KTX, 코레일 일반 열차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번갈아 타고 있는데요-
코레일톡 앱에 가면 KTX 할인 해주는 여행상품도 있고, 청년들을 격려하는 할인 티켓도 있더라고요, 물론 이용하는 날짜보다 훨씬 전에해야하고 원하는 시간, 좌석을 끊기가 어렵다는점이 있지만요^^
오늘도 도움이 되는 글을 잘 읽고 꾹 누르고 갑니다.
따뜻한 주말 보내시길 바래요 - ^ _
답글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이용할 경우 자유석도 괜찮겠다라구요.
휴일 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석도 있고 인원이 4명이상이면 가족석을 이용해도 할인을
받을수 있습니다.^^
답글
가족석 할인이 아직도 유지가 되고 있는가 보군요.
휴일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이용할 기회가 없어서...아직....ㅎㅎ
알아둬야겠네요
답글
네. 감사합니다~^^
케이티엑스 지정석이 아닌 자유석이 있군요.
평일에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네요.
답글
네. 자유석은 평일에만 운영하고 있습니다.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저도 KTX를 탑승하게 되면 자유석으로 발권해야 겠습니다.
기분좋은 일요일 되세요.
답글
ㅎㅎ 조금이라도 아끼려면 자유석이 낫겠더라구요.
한번 타본 경험 있네요. 자유석은 몰랐어요. 한국에 방문했을때 친정오빠가 끊어준대로 타고 왔었지요 ㅋㅋㅋ
답글
KTX 타보셨군요?
ㅎㅎ
즐거운 일요일 되세요~^^
저는 좌석이 없어 자유석을 타고 다닌 적있습니다.
모르고 타고 다년는데... 가끔 이용해야겠습니다. .
답글
5% 요금을 아끼기 위한 방법이더라구요.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팅 잘보고 공감하고 갑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답글
잘보고 공감하고 갑니다 ^^
좋은 휴일보내세요 ~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 주 시작하세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 주 시작하세요.
케이티엑스 학생때 타고 안 타봤는데 자유석도 있네요~~가족이랑 여행가면 할인도 해준다는데 여행 떠나 봐야겠어요~~
답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 주 시작하세요.
저는 5% 저렴한 자유석 이용해 보았는데 괜시레 불안하더라구요.^^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답글
그럴수도 있겠네요.
자리를 찾아 앉아야하는 불안감 공감이 갑니다.ㅎ
KTX이용할때 자유석 이용 가끔해봤어요.. 평일만 이용 가능하다는 점만 좀 아쉽지만요
저는 자유석과 입석... 일반석의 할인율과 같은 줄 알았는데, 자유석은 일반석의 5% 할인된 가격이군요. 자유석은 일반석의 15% 할인된 가격 ㅠㅠ
답글
네. 요즘같이 어려운 시절에 조금이라도 아낄수 있다면 아껴야죠.
궁상시랍긴 하지만 ㅎ
"또한 KTX 자유석의 경우 지정열차 출발 1시간을 전후로 다른 열차의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안된지 오래되었답니다. 표 값만 날렸습니다. 허위정보는 수정해 주세요.
답글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