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총정리 (분포, 구성, 관람안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조선왕릉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곳은
1995년에 석굴암과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1997년에 창덕궁, 수원화성
2000년에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 경주 역사유적지구
2009년에 조선왕릉 40기
2010년에는 하회/양동마을
2014년에는 남한산성
2015년에는 백제 역사유적지구
2018년에는 통도사/부석사/봉정사/법주사/마곡사/선암사/대흥사 등 총 12개가 있습니다.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 40기의 분포도와 조선왕릉의 구성, 그리고 조선왕릉의 배치도와 관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조선시대는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1392년 부터 한일합방이 있던 1910년까지 519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519년 동안 27명의 왕이 조선을 다스렸고, 남한에 40기, 북한에 2기의 왕릉이 분포하고 있죠.
남한에 있는 40기만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고 북한에 있는 제릉과 후릉은 아직 등재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긴 조선은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한 덕에 42기 어느 하나도 훼손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니 다행이 아닐 수 없습니다.
조선왕릉을 좀 더 넓게 보면 총 120기가 있는데 능이 42기, 원이 14기, 묘가 64기 입니다.
여기에 나오는 능은 왕과 왕비의 무덤을 말하고, 원은 세자와 세자빈 그리고 후궁의 무덤, 묘는 그 외 왕족과 일반인들의 무덤을 말합니다.
그리고 조선왕릉 무덤의 형태도 다양합니다.
단릉 : 왕이나 왕비 한 분만 모시는 무덤
(건원릉, 북한 재릉, 서울 정릉, 영월 장릉, 남양주 사릉, 파주 삼릉의 공릉, 파주 삼릉의 순릉, 선정릉의 정릉, 양주 온릉, 고양 서삼릉의 희릉, 서울 태릉, 서오릉 익릉, 동구릉 혜릉)
쌍릉 : 두 분을 따로 이웃해서 모신 무덤
(북한의 후릉, 헌인릉의 헌릉, 고양 서삼릉의 효릉, 태릉의 강릉, 김포 장릉, 동구릉의 숭릉, 동구릉의 원릉, 파주 삼릉의 영릉, 고양 서삼릉 예릉)
동원이강릉 : 같은 장소에 산줄기를 따로 해서 모신 무덤
(동구릉의 현릉, 남양주 광릉, 서오릉 창릉, 서오릉 경릉, 선정릉의 선릉, 동구릉의 목릉, 서오릉 명릉)
동원상하릉 : 왕과 욍비의 무덤을 같은 장소 위와 아래에 모시는 무덤
(여주 영릉, 서울 의릉)
합장릉 : 두 분을 한 무덤에 함께모신 능
(여주 영릉, 파주 삼릉의 장릉, 융건릉의 융릉, 융건릉의 건릉, 헌인릉의 인릉, 동구릉 수릉, 홍유릉의 홍릉, 홍유릉의 유릉)
삼연릉 : 왕과 왕비 두 분 등 세 분을 같은 장소에 세 개의 무덤에 나란히 모신 능
(동구릉 경릉)
조선왕릉의 분포 현황 입니다.
남한에 있는 40기의 왕릉이죠.
양주의 온릉(중종의 비 단경왕후)
김포의 장릉(원종, 인헌왕후)
파주의 장릉(인조, 인열왕후)
파주의 삼릉 - 순릉(성종의 비 공혜왕후), 영릉(진종소황제, 효순소황후), 공릉(예종의 비 장순왕후)
고양의 서오릉 - 경릉(덕종, 소혜왕후), 창릉(예종, 안순왕후), 명릉(숙종, 인현왕후, 인원왕후), 익릉(숙종의 비 인경왕후), 홍릉(영조의 비 정성왕후)
고양의 서삼릉 - 효릉(인종, 인성왕후), 예릉(철종장황제, 철인장황후), 희릉(중종의 비 장경왕후)
서울의 태릉.강릉 - 태릉(중종의 비 문정왕후), 강릉(명종, 인순왕후)
서울 정릉(태조의 비 신덕고황후)
서울 의릉(경종, 선의왕후)
서울 선정릉 - 선릉(성종, 정현왕후), 정릉(중종)
서울 헌인릉 - 헌릉(태종, 원경왕후), 인릉(숙조숙황제, 숙원숙황후)
구리의 동구릉 - 건원릉(태조), 현릉(문종, 현덕왕후), 목릉(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휘릉(인조의 비 장렬왕후), 숭릉(현종, 명성왕후), 혜릉(경종의 비 단의왕후), 원릉(영조, 정순왕후), 경릉(헌종성황제, 효현성황후, 효정성황후), 수릉(문조익황제, 신정익황후)
남양주 사릉(단종의 비 정순왕후)
남양주 홍유릉 - 홍릉(고종태황제, 명성태황후), 유릉(순종효황제, 순영효황후, 순정효황후)
남양주 광릉(세조, 정희왕후)
여주 영릉.영릉 -영릉(세종, 소현왕후), 영릉(효종, 인선왕후)
화성이 융건릉 - 융릉(장조의황제, 헌경의황후), 건릉(정조선황제, 효의선황후)
영월의 장릉(단종)
영월의 장릉
조선왕릉의 배치도(구성) 입니다.
조선왕릉은 죽은 자가 머무는 성의 공간과 산 자가 있는 속의 공간이 만나는 곳으로, 그 공간의 성격에 따라 능침구간과 제향공간, 진입공간으로 나누어 지는데요.
능침구간은 왕과 왕비의 봉분(능침, 능상)이 있는 성역 공간이고,
제향공간은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하는 영역으로 제자를 지내는 곳입니다.
아울러 진입공간은 왕릉의 관리와 제례준비를 위한 공간이죠.
조선왕릉의 가치는 형태적 보존에만 있지 않습니다.
조선왕릉을 더욱 더 빛나게 하는 것은 600년 넘게 이어져 내려오는 조선왕릉의 제례의식이죠.
건국 이래 산릉제례를 엄격하게 지켜왔고, 1945년 해방 후에도 전주이씨 대동종악원이 능기신제(기일에 올리는 제사)의 전통을 이어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조선 제례의식으로 산릉제례와 함께 종묘제례가 있습니다.
종묘제례인 종묘대제는 매년 5월 첫번째 일요일에 지내는데 역대 왕과 왕비, 추준왕관 추존왕비의 신위를 봉안하고 제사를 드리는 일입니다.
종묘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고,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은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조선왕릉의 세 가지 공간에 있는 건축물과 조형물의 구조도 입니다.
진입공간에 있는 재실은 능 제사와 관련한 전반적인 준비를 하는 곳으로 왕릉을 관리하던 능참봉이 상주하는 곳입니다.
금천교는 왕릉의 금천을 건너는 다리로서 속세와 성역의 경계역할을 하죠.
제향공간의 홍살문은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문으로 붉은 칠을 한 둥근 기둥 2개를 세우고 위에는 살을 박아 놓습니다.
홍문 또는 홍전문이라고도 불립니다.
신도와 어도는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길로 박석을 깔아 놓았고, 왼쪽의 약간 높은 길은 신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신도라고 하며, 오른쪽 약간 낮은 길은 임금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어도하고 합니다.
정자각은 능 제향을 올리는 정자 모양으로 지은 집으로 제향을 올릴 때 왕의 신주 이곳에 모십니다.
정자각 좌우에는 수라청과 수복방이 있는데 스라청은 재실에서 준비한 제례음식을 데우고 진설하는 곳이고, 수복방은 능원을 지키는 사람의 공간입니다.
문화재청은 왕릉의 수라청과 수복방을 복원하는 공사를 곳곳에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비각은 비석이나 신도비를 세워 둔 곳으로 신도비는 주인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입니다.
예감은(혹은 소전대)는 재사를 마친 후 축문이나 혼백 등을 태우는 시설물이고, 산신석은 제례 후에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입니다.
그럼 능침구간을 알아볼까요?
무인석은 문인석 아래에서 왕을 호위하고 있고, 두 손으로 장검을 짚고 위엄있는 자세로 서있습니다.
문인석은 장명등 좌우에 있으며, 두 손으로 홀을 쥐고 서 있습니다.
능침은 능 주인이 잠들어 있는 곳으로 능성이라고도 합니다.
곡장은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 서, 북 삼면에 줄러 놓은 담장을 말합니다.
조선왕릉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조선왕릉은 석실과 회격식으로 나누어 집니다
조선왕릉 석실은 말 그대로 주로 돌(대리석 등)을 이용해서 붕분을 조성했는데,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죠.
바닥부터 재궁, 지붕, 병풍석까지 모두 대리석과 같은 돌로 만든 봉분입니다.
조선왕릉 회격식은 왕릉 조성에 백성들이 고통받는 걸 방지하기 위해 예종 때 부터는 시멘트와 비슷한 회격으로 왕릉을 만들게 명 하면서 시작된 방식입니다.
관을 구덩이에 내려 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다지는 형식이죠.
조선왕릉 관람안내입니다.
조선왕릉 관람시간은 월에 따라 달라집니다.
매표는 관람시간 1시간 전까지만 가능해서 마감 1시간전에는 입장을 해야 합니다.
2~5월, 9~10월에는 관람시간이 09:00~18:00, 6~8월에는 09:00~18:30, 11~1월에는 09:00~17:30까지 입니다.
(매표는 09:00 시작)
조선왕실 정기 휴무일은 매주 월요일입니다.
조기 새벽에 개방하는 조선왕릉은 구리 동구릉, 서울 정릉, 서울 선정릉, 고양 서오릉, 김포 장릉으로 06:00부터 입장이 가능합니다. 11~1월에는 06:30부터 입장이 가능합니다.
야간개방하는 조선왕릉은 서울 선정릉이 21:00까지 개방하고 있네요.
조선왕릉 관람요금은 만 25세~64세까지 내야 하는데, 대부분 요금이 1,000원인데 왕릉에 따라 무료로 운영하는 곳도 있으니 개별적인 확인을 해야 할 것 같네요.
(양주 온릉은 비공개 중)
능 해당 지역주민은 50% 감면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조선왕릉의 분포도, 왕릉 구성 및 배치도 그리고 관람에 대해서 알아 봤는데요.
선선해지면서 나들이 할겸 조선역사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는 건 어떨까 싶어서 정리해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의도 한강공원 정보(주차장, 자전거, 배달존, 야시장, 한강유람선) (20) | 2018.10.07 |
---|---|
서울정원박람회 이모저모 (여의도공원) (50) | 2018.10.04 |
서울걷자페스티벌 참여하고 왔어요 (48) | 2018.10.01 |
대관원, 수요미식회 영등포구청역/당산역 맛집 (32) | 2018.09.23 |
조선왕릉 총정리 (분포, 구성, 관람안내) (46) | 2018.09.11 |
은평한옥마을, 북한산 풍경이 예뻐요 (48) | 2018.09.10 |
삼청동 문화여행(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26) | 2018.09.08 |
서울 아이와 가볼만한곳, 서울역사박물관 (44) | 2018.09.05 |
경찰박물관, 아이들과 가볼만한곳 박물관투어 (46) | 2018.09.04 |
몇년 사이에
대부분 조선왕릉을 다녀온 것 같아요
기회가 되면 계획을 세워 모든 조선왕릉을 다녀오는 것도 좋아요.. ^^
답글
40곳을 다 다니는 것은 무리일듯 하네요.ㅎ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조선왕릉 대리석을많이사용했군요~ 돈을많이 들었겠어요~ 덕분에 왕릉정보들 잘알고갑니다^^
답글
돈보다는 백성들이 너무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예조때에는 돌대신에 시멘트같은 회격식으로 조성해서 노고를 덜었다고 하네요.
왕릉을 일제가 훼손하지 않고 보존되어 있어서 다행이다라는 생각도 듭니다
답글
조선왕릉은 대부분 훼손되지 않고 보존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왕릉이 정말 많으네요~~~
왕릉만 돌아다녀도 서울 곳곳을 갈수 있을거 같은데요
답글
조선의 역사를 제대로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인듯 싶습니다.
모두 돌러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 같은데 저도 천천히 한군데씩 방문해보려고 합니다.ㅎ
공부 열심히 하고 갑니다.
내일돼면 까먹을지도 ㅎㅎㅎ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답글
ㅎㅎ관심이 있어야 공부가 되는 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그대로 보존되어있는 것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어오
답글
맞아요.
앞으로도 오랫동안 잘 보존되기를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조선 왕릉에 대해 잘 몰랐는데 유익한 글 감사합니다!
저도 시간이 되면 꼭 한번 가보고 싶네요~
답글
감사합니다.
기회되면 다 둘러보기에는 무리이니까 동구릉이나 서오릉 중 한 군데를 추천합니다.
조선왕릉 세가지 공간에 있는 건축물과
조형물 구조도를 보면서
그냥 무심코 보았던 건축물과 조형물이
어떤 역할을 하는 곳인지 알게 되어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답글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왕릉에 대한 관심이 가게 되어 정리해 봤습니다.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보기좋게 정리해주셔서 한눈에 보기 편하네요~ 아직 못가본 곳이 많은데 차근차근 가봐야겠어요ㅎ
답글
감사합니다.
나중에 다른 왕릉 갈때 참고하려고 정리해봤습니다.
편안한 시간되세요.
오오오오 여기도 꼬옥 가봐야 할 곳이네여!!!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는 것은 그야말로 의미있고 문화가 깃들여진 곳!!
답글
조선왕릉 모두가 아직까지 큰 훼손없이 보존되고 있어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조선왕릉의 구조도을 보니
왕의 위치와 위대함을 느낄수 있군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었으니
더욱 잘 보존해야 되겠습니다.
답글
맞습니다.
왕은 살아서 죽음을 맞이해도 위엄이 있네요.ㅎ
편안한 시간 되세요.
조선왕릉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저녁시간 되세요.
조만간 왕릉 투어 다닐 것 같아요 ㅋㅋ
답글
ㅎ그런가요?
선선해지면 산책하기 좋을겁니다.
조선왕릉, 조선의 역사를 제대로 배울수 있을 것 같아요~~ 휴식님 덕분에 좋은 정보 많이 배우네요~~ 저도 서오릉 부터 천천히 둘러봐야겠습니다~^^
답글
큰 릉 한군데 다녀오면 릉에 대한 것은 다 배울수 있을것 같습니다.
왕릉의 형태가 비슷하니까요.
잘 보좀 되어 있어서 정말 다행입니다.
답글
맞아요.
앞으로도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네요.
조선왕릉 투어 요즘 날씨에 정말 좋을것 같습니다^^
이제 더운 날은 다 갔고, 시원하니 산책하기 정말 좋은것같습니다
답글
네. 지금정도면 산책하며 구경하기에 좋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는 잘 보존되었으면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답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와 너무 멋진 글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힘들게 이쁘게 잘 정리 해서올려주셨는데
머리에 안들어와요 ㅎㅎㅎㅎ친구님의 직업이 의심스러워
갑자기 띵~~ 멍때림 ㅋㅋㅋㅋㅋ
답글
ㅎㅎ외우려고 하면 띵~~하죠.
참고만 하시고 필요하면 찾아보면 됩니다.
십대가 아니니깐요.ㅎㅎ
서오능 인근에 1년정도 산 적이 있어요. 그때 수시로 서오능 산책을 했었는데 숙종 장희빈 뭐 이렇게말 알았는데 다시 갈 수 있는날에는 덕택에 좀 지식을 채워서 가보려구요^^
답글
근처에 사셨으면 산책하기에 너무 좋았겠어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